[매일뉴스] 인천 지역 전통시장 10곳 중 4곳이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진입곤란 지역’으로 조사됐다. 화재 발생 시 초기 진압에 어려움이 예상돼 맞춤형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더불어민주당 허종식 의원(국회 산자중기위, 인천 동구미추홀구갑)이 소방청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6월 기준 인천 지역 전통시장 57곳 중 23곳(40.4%)이 ‘소방차 진입이 곤란하거나 아예 불가능한 지역’으로 분류됐다.<표1 참조>
인천지역 전통시장 소방차 진입불가 및 곤란지역 세부 현황(2025. 6. 30. 기준)
연번 |
시·군·구 |
시장명 |
진입불가(곤란) 구간명 |
1 |
계양구 |
병방시장 |
병방시장로 60 ~ 병방시장로 911번길 (계양산전통시장) |
2 |
계양구 |
계산시장 |
계산시장길 27(계산시장 일대) |
3 |
남동구 |
간석자유시장 |
용천로168번길4~백범로312-5(간석자유시장 일대) |
4 |
미추홀구 |
신기시장 |
신기길15번길·29번길·49번길, 인하로262번길·266번길·272번길 |
5 |
미추홀구 |
남부종합시장 |
신기길15번길·29번길·49번길, 인하로262번길·266번길·272번길 |
6 |
미추홀구 |
용남시장 |
인주대로266번길, 한나루로501번길, 인하로147번길·163번길 |
7 |
미추홀구 |
석바위시장 |
경원대로 852,858,864, 경인로 471,485,499(석바위시장 일대) |
8 |
미추홀구 |
용현시장 |
독배로 422 ~ 용삼길 33(용현시장 일대) |
9 |
부평구 |
부평종합시장 |
부평대로36번길,부평문화로79번길 |
10 |
부평구 |
진흥종합시장 |
부평대로36번길,부평문화로79번길 |
11 |
부평구 |
부평깡시장 |
부흥로304번길,부흥로316번길,주부토로22번길,주부토로32번길,대정로35번길 |
12 |
부평구 |
노다지 벼룩시장 |
부흥로304번길,부흥로316번길,주부토로22번길,주부토로32번길,대정로35번길 |
13 |
부평구 |
청과부평시장 |
부흥로304번길,부흥로316번길,주부토로22번길,주부토로32번길,대정로35번길 |
14 |
서구 |
가좌시장 |
원적로82 일대 |
15 |
서구 |
정서진 중앙시장 |
서구 가정로378 ~ 가정로 380번길 32 |
16 |
서구 |
강남시장 |
서구 가정로 305 ~ 가정로 307번길 27-4, 서구강남로90~강남로15 |
17 |
중구 |
신흥시장 |
도원로23 ~ 도원로 23~26(선화동) |
18 |
중구 |
신포시장 |
우현로45번길 31 ~ 우현로 41-1(신포동, 신포시장 내) |
19 |
중구 |
인천종합 어시장 |
연안부두로21번길~33번길 |
20 |
동구 |
송현시장 |
동구 솔빛로(송현시장 일대) |
21 |
동구 |
중앙시장 |
송현동 100번지 일대(중앙시장,송현자유시장) |
22 |
동구 |
송현자유시장 |
송현동 100번지 일대(중앙시장,송현자유시장) |
23 |
동구 |
현대시장 |
송림동 샛골로 174 ~ 송림로 109번길 44(현대시장) |
<자료 : 소방청 자료를 허종식 의원실에서 재편집>
소방청은 폭 2.5m의 중형 펌프차가 진입하기 어렵거나 불가능한 구역을 ‘소방차 진입곤란‧불가지역’으로 지정해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진입곤란 시장은 전국적으로 총 93곳이며, 그 중 인천이 23곳으로 서울(34곳) 다음으로 많았다. 대구(12곳), 부산(8곳), 대전(6곳) 등이 뒤를 이었다.<표2 참조>
전국 전통시장 소방차 진입불가 및 곤란지역 현황(2025. 6. 30. 기준)
구분 |
서울 |
인천 |
대구 |
부산 |
대전 |
울산 |
전북 |
광주 |
경기 |
전체 |
지정 (도로명) |
36 |
19 |
11 |
7 |
6 |
4 |
3 |
1 |
1 |
88 |
시장 |
34 |
23 |
12 |
8 |
6 |
5 |
3 |
1 |
1 |
93 |
<자료 : 소방청 자료를 허종식 의원실에서 재편집>
군·구별로는 미추홀구와 부평구가 각각 5곳으로 가장 많았으며 동구(4곳), 서구·중구(각 3곳), 계양구(2곳), 남동구(1곳) 순이었다. 진입이 어려운 시장 대부분이 도로가 좁고 건물이 밀집된 원도심에 위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최근 5년간 인천 지역 전통시장에서는 총 33건의 화재가 발생했다. 이로 인해 3명이 부상하고, 13억4,735만원의 재산피해가 발생했다.<표3 참조>
<표3> 최근 5년간(2020~2024) 인천 전통시장 화재발생 및 피해 현황
구 분 |
화재건수 |
인명피해(명) |
재산피해(천원) |
|
사망 |
부상 |
|||
합계 |
33 |
0 |
3 |
1,347,353 |
2020 |
6 |
0 |
0 |
25,063 |
동구 |
3 |
0 |
0 |
17,549 |
부평구 |
1 |
0 |
0 |
5,584 |
중구 |
2 |
0 |
0 |
1,930 |
2021 |
8 |
0 |
2 |
38,233 |
남동구 |
2 |
0 |
1 |
1,077 |
미추홀구 |
3 |
0 |
0 |
1,584 |
부평구 |
3 |
0 |
1 |
35,572 |
2022 |
6 |
0 |
0 |
10,190 |
남동구 |
1 |
0 |
0 |
2,875 |
동구 |
1 |
0 |
0 |
110 |
미추홀구 |
1 |
0 |
0 |
1,105 |
부평구 |
2 |
0 |
0 |
5,535 |
중구 |
1 |
0 |
0 |
565 |
2023 |
9 |
0 |
0 |
1,246,466 |
계양구 |
1 |
0 |
0 |
50 |
남동구 |
4 |
0 |
0 |
3,037 |
동구 |
2 |
0 |
0 |
1,240,691 |
부평구 |
1 |
0 |
0 |
20 |
서구 |
1 |
0 |
0 |
2,668 |
2024 |
4 |
0 |
1 |
27,401 |
남동구 |
1 |
0 |
1 |
1 |
미추홀구 |
3 |
0 |
0 |
27,400 |
<자료 : 소방청 자료를 허종식 의원실에서 재편집>
군·구별 화재 발생 건수는 남동구 8건, 미추홀구·부평구 각 7건, 동구 6건, 중구 3건, 계양·서구 각 1건 순이었다.
특히, 동구는 6건의 화재로 12억5,835만원의 피해가 발생해 전체 피해액의 93.4%를 차지했다. 이는 화재 발생 건수 자체보다, 초기 진압 등 초동 대응 여부가 피해 규모를 결정짓는 주요 요인임을 보여준다.<표3 참조>
허종식 의원은 “전통시장 화재는 골든타임을 놓치면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소방당국과 지자체가 협력해 소방차 진입이 어려운 시장을 중심으로 맞춤형 화재 대응 시스템을 시급히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