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매일뉴스】 김학현 기자 = 인천 서구(구청장 강범석)는 장기간 방치돼 주민 안전과 생활환경을 위협하던 석남동 508-14번지 일원 빈집에 대한 안전조치 공사를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서구는 해당 빈집에 ‘출입금지’ 안전 표지판과 안전 울타리(펜스)를 설치하고, 주변 환경 정비를 병행해 무단 출입과 범죄 발생 가능성을 차단했다. 이번 조치는 주민들의 불안 해소와 지역 환경 개선을 목표로 추진됐다.
석남동 해당 구역은 수년간 관리되지 않은 채 방치돼 불법 쓰레기 투기 장소로 전락했다. 건물 외부와 내부에 생활 쓰레기와 각종 폐기물이 쌓이면서 도시미관을 심각하게 훼손했으며, 위생 문제와 악취로 주민 민원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특히 빈집은 화재 위험, 범죄 발생, 청소년 탈선 장소 등으로 악용될 소지가 커 지역사회 전체가 잠재적 위험에 노출돼 있는 상황이었다. 서구 관계자는 “빈집은 관리가 부실하면 단순히 흉물이 되는 수준을 넘어, 주변 주민의 안전까지 직접적으로 위협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서구는 주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삼아 안전 울타리와 출입금지 표지판을 설치하고 외부인의 접근을 원천 차단했다. 또한 주변에 쌓여 있던 쓰레기와 폐기물을 수거하고, 건물 주변 환경을 정비해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했다.
이번 조치는 단순한 시설 설치를 넘어, 해당 구역의 장기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계기가 됐다. 구는 앞으로 빈집에 대한 정기 점검 체계를 강화하고, 주민 의견을 반영해 필요 시 추가 조치도 병행할 계획이다.
서구청은 이번 조치로 방치된 빈집이 범죄나 화재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실제로 전국 각지에서 빈집을 활용한 범죄 사례가 보고되고 있어 지방자치단체들의 선제적 대응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인근 주민들도 안도감을 표했다. 한 주민은 “아이들이 근처에서 놀 때 항상 불안했는데, 펜스와 표지판이 설치돼 안심이 된다”며 “앞으로도 빈집 관리가 꾸준히 이어지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빈집 문제는 인구 감소와 도시 노후화가 심화되면서 전국적으로 주요 사회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전국 빈집 수는 약 60만 채에 달하며, 매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인천은 원도심 재개발 지연과 도심 이탈 현상 등으로 빈집이 늘어나는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전문가들은 방치된 빈집이 지역경제 활성화를 저해하고, 지역 이미지에도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지적한다. 이에 따라 지자체마다 빈집 철거, 리모델링, 안전조치 등 다양한 대책을 내놓고 있다.
서구는 이번 조치를 계기로 빈집 관리 정책을 한층 강화할 방침이다. 서구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방치된 빈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범죄와 안전 사고 위험이 줄어들 것”이라며 “앞으로도 빈집 실태조사와 점검을 통해 철저히 관리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구는 향후 빈집 활용 방안도 다각도로 검토할 계획이다. 단순히 안전 조치에 그치지 않고, 지역 특성과 주민 의견을 반영해 주차장·공원·마을 공유 공간 등으로 재활용하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강범석 서구청장은 “주민들이 안심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만드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며 “도시 미관을 해치고 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빈집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