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2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사회일반

기자수첩│‘성공 뒤의 그림자’ 소래포구 축제, 남동구 행정의 민낯

[기자수첩]

제25회 소래포구 축제가 지난 9월 28일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축제장을 찾은 시민과 관광객은 수만 명에 달했고, 소래포구는 오랜만에 활기를 되찾았다.

 

그러나 화려한 불빛 뒤, 기자의 눈에는 씁쓸한 장면들이 남았다.

 

행사 시작 전, 취재진은 한 시간 일찍 현장에 도착했다. 주요 인사들을 인터뷰하며 준비를 마친 뒤 본무대 취재를 위해 장비를 들고 입장하려는 순간, 뜻밖의 상황이 벌어졌다. 안전요원이 취재진의 출입을 가로막은 것이다.

 

“기자입니다. 명함도 드리겠습니다.”

분명 신분을 밝히고 취재 목적을 설명했지만, 돌아온 답은 “아니요, 들어오시면 안 됩니다”라는 단호한 거절이었다. 옆에서 이를 지켜보던 남동구청 공무원과 남동문화재단 직원들은 그저 팔짱만 낀 채 ‘불구경’ 하듯 방관했다.

 

그 사이 정치인들과 구의원들은 아무 제지 없이 안으로 들어갔다. 수많은 시민들이 보는 앞에서 기자가 길 위에 10분 넘게 서성이며 항의해야 했던 상황은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언론을 차별하고 홀대하는 구시대적 행태였다.

 

뒤늦게 한 관계자가 “네, 들어가세요”라는 허술한 허락을 내리면서 상황은 마무리됐지만, 남긴 상처는 깊다. 공공행사를 주관하는 기관이 언론 취재를 이렇게 자의적으로 통제한다면, 이는 단순한 행정 미숙을 넘어 언론 자유 침해라는 비판을 피할 수 없다.

 

더 큰 문제는 준비 부족과 무책임한 태도다. 남동구청과 남동문화재단은 사전에 언론사에 취재 안내를 하거나 현장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았다. 취재진이 항의하는 동안에도 누구 하나 나서서 상황을 조율하지 않았다. 공공 행정의 기본인 소통과 책임이 실종된 순간이었다.

 

“규모가 작은 언론사라서 무시당한 것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실제로 영상에 담긴 대응은 ‘차별적 행정’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시민의 세금으로 치러지는 공공 축제에서 언론사 규모에 따라 취재 기회를 달리하는 것은 21세기 민주사회에서는 용납될 수 없는 행태다.

 

축제는 성공리에 끝났지만, 남동구 행정은 이번 일을 계기로 냉정한 성찰이 필요하다. 축제의 주인공은 정치인도, 공무원도 아닌 시민이며, 취재 현장을 지키는 기자 또한 시민의 알 권리를 대변하는 존재다. 그 기본을 무시한 채 치러진 축제라면, 아무리 많은 인파가 몰려도 진정한 성공이라 할 수 없다.

 

남동구와 남동문화재단이 이번 일을 ‘단순한 해프닝’으로 치부하지 않기를 바란다. 공정한 취재 보장과 투명한 행정만이 내년 축제를 진정한 시민 축제로 만드는 첫걸음일 것이다.

 

본기자가 바빠서 찾아가지는 못하고 항의 전화했는데, 그날 있었던 원할하지 못한 행사 진행 실수를 거듭 사과하고 인정하고 재발 방지를 약속하는, 남동구청 문화관광과 N과장의 진심을 느낄수 있었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