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1 (화)

  • 맑음동두천 13.8℃
  • 맑음강릉 17.0℃
  • 맑음서울 13.9℃
  • 맑음대전 14.9℃
  • 맑음대구 14.8℃
  • 맑음울산 13.4℃
  • 맑음광주 15.2℃
  • 구름조금부산 15.1℃
  • 맑음고창 14.0℃
  • 구름조금제주 13.9℃
  • 맑음강화 12.3℃
  • 맑음보은 14.2℃
  • 맑음금산 14.2℃
  • 맑음강진군 15.5℃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4.2℃
기상청 제공

건설업 임금체불 압도적으로 많은데, 근로감독은 압도적으로 적었다

이용우 의원 “정부는 건설업 임금체불 감독 포기했나? 노사법치주의 한다면 건설업 임금체불부터 철저히 해야”

이용우_국회의원_대표사진0.jpg


[매일뉴스] 임금체불의 1/3이 건설업에서 나오고 있지만, 고용노동부 근로감독 중 건설업 비중은 3%대 수준으로, 건설업 임금체불을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3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더불어민주당 이용우 의원이 고용노동부(이하 노동부)에 확인한 바에 따르면,  2023년 국내 임금체불총액은 노동부 신고 사건 기준으로 1조 7,845억 3천만원이었고, 체불노동자는 275,432명이었다. 


체불인원은 건설업이 93,527명으로 가장 많았는데 (34.0%), 임금체불의 심각성에 비해 노동부의 근로감독 규모는 극히 미미했다. 정기, 수시, 특별감독을 다 합쳐,  노동부가 2023년 임금체불 근로감독을 실시한 건수는 17,588건이었는데 이 중 건설업 근로감독은 652건, 3.7%에 불과했다. 

 

2023년 업종별 임금체불 인원 및 노동부 근로감독

업종

체불인원()

체불인원

비율(%)

근로감독()

근로감독

실시비중(%)

제조업

57,389

20.8%

6,679

38.0%

전기가스및수도업

812

0.3%

8

0.0%

건설업

93,527

34.0%

652

3.7%

도소매및음식숙박업

47,663

17.3%

4,005

22.8%

운수창고및통신업

16,872

6.1%

1,369

7.8%

금융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28,575

10.4%

1,926

11.0%

기타

30,021

10.9%

2,715

15.4%

미확인

573

0.2%

234

1.3%


23년 전체 임금체불 근로감독은 22년 10,421건 대비 7,167건이 늘었지만, 전체 감독증가분 7,127건 대비 건설업의 감독 증가분은 287건으로 4.0%에 불과했다. 반면 22년에 비해 23년 건설업의 임금체불 인원은 27%나 증가한 상태였다. 업종별로 임금체불 증감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상황임을 고려하면, 정부가 건설업이 임금체불이 급증함에도 근로감독 물량 증가하는 데는 인색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 

 

2022-23년 업종별 임금체불 증가 현황과 노동부 감독물량 증가분 비교

업종

2022

체불()

2023

체불()

체불인원

증가율

2022

근로감독()

2023

근로감독()

근로감독

증가분

감독증가분

(7167)

대비 비중

제조업

53,961

57,389

6.4%

4,255

6,679

2,424

33.8%

전기가스및수도업

1,006

812

-19.3%

12

8

-4

-0.1%

건설업

73,646

93,527

27.0%

365

652

287

4.0%

도소매및음식숙박업

40,547

47,663

17.6%

2,106

4,005

1,899

26.5%

운수창고및통신업

15,579

16,872

8.3%

606

1,369

763

10.6%

금융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24,502

28,575

16.6%

954

1,926

972

13.6%

기타

27,420

30,021

9.5%

1,939

2,715

776

10.8%

미확인

840

573

-31.8%

184

234

50

0.7%


올해도 사정은 다르지 않아서, 24년 6월 현재 전체 임금체불 노동자의 32.0%가 건설업에 종사하고 있지만, 건설업에 대한 임금체불 근로감독 실시 비중은 2.9%에 불과하다. 심지어 이는 지난 해의 3.7%보다 오히려 줄어든 수치다. 

 

2024년 업종별 임금체불 인원 증가율 및 노동부 근로감독

업종

체불인원()

체불인원

비율(%)

근로감독()

근로감독

실시비중(%)

제조업

28,489

18.9%

1,831

23.1%

전기가스및수도업

512

0.3%

3

0.0%

건설업

48,148

32.0%

232

2.9%

도소매및음식숙박업

26,028

17.3%

1,724

21.7%

운수창고및통신업

14,200

9.4%

1,157

14.6%

금융보험부동산 및

사업서비스업

15,500

10.3%

786

9.9%

기타

17,364

11.5%

2,117

26.7%

미확인

262

0.2%

91

1.1%

 

한편 지난해 임금체불이 금액 규모에서 제일 큰 업종은 제조업으로 5,435억 5천 6백만원(30.5%)이었고, 체불사업장수는 도소매숙박업이 28,356곳(30.3%)으로 가장 많았다. 임금체불은 문재인 정부 초반인 18년과 19년 늘었다가 20년~22년 3년 연속 감소 추세였는데, 윤석열 정부 임기 두 번째 해인 지난 해 32.5%나 폭증했다. 이에 따라 지난 해 1인당 평균 임금체불액도 650만원에 가깝게 높아졌고, 올해 상반기도 1인 평균체불금액은 지난 해보다 7.0% 늘어, 1인당 평균체불금액이 700만원에 육박하게 됐다.

 

2017~2024 1인당 평균임금체불액 및 연간 임금체불 총액 현황

연도

1인 평균체불액

()

1인 평균체불액

증가율(%)

연간 체불총액

(백만원)

체불총액

증가율(%)

2017

4,227,823

-3.7%

1,381,065

-3.3%

2018

4,685,780

10.8%

1,647,197

19.3%

2019

4,990,776

6.5%

1,721,703

4.5%

2020

5,378,693

7.8%

1,583,014

-8.1%

2021

5,467,306

1.6%

1,350,452

-14.7%

2022

5,672,435

3.8%

1,347,209

-0.2%

2023

6,479,022

14.2%

1,784,530

32.5%

2024

6,933,888

7.0%

1,043,571

 

 

이용우 의원은 “건설업은 임금 대비 고용인원이 많고, 다단계 불법하도급이 만연해 임금체불이 가장 심각한 산업”인데, “정부가 건설업 임금체불 근로감독을 소홀히 한 것을 넘어 사실상 근로감독을 포기했다고 밖에 볼 수 없다”며 강하게 질타했다. 


특히 이 의원은 “건설현장에서 가장 심각한 불법은 노조의 교섭요구가 아닌 임금체불인데, 정부의 노사법치주의는 오직 건설노조만 향해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윤석열 정부가 자신들 말대로 노사법치주의를 실현하려면 노조 탄압이 아니라 임금체불감독부터 철저히 해야한다”며 고용노동부의 적극적 대처를 주문했다.

배너
프로필 사진